2022년에 제정 계획이 의료 서비스의 질 향상 및 관련 산업의 활성화 기대 한국이 제안한 의료 영상 기반 3D프링팅모데링그 관한 표준안 2건이 국제 표준 과제로 채택됐다. 향후 해외 전문가와의 협의를 거쳐서 2022년경 국제 표준 제정될 전망이다. 12일 과학 기술 정보 통신부 국립 전파 연구원에 따르면 이번에 채택된 표준안은 ‘3D프린팅 및 스캔(ISO/IEC JTC 1/WG 12)분야 프로젝트이다. 국제 표준화 기구(ISO)와 국제 전기 기술 위원회(IEC)이 정보 기술 분야의 국제 표준화를 위한 운영 중인 합동 기술 위원회(JTC 1)산하의 직속의 작업반(WG)을 의미한다.
>
표준안은 환자의 의료 영상에 기반을 둔 맞춤형 3D프린팅의 보형물 제작 절차를 명시했다. 해당 표준안이 국제 표준 제정되면 실제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정밀한 환자 맞춤형 3D모델과 3D프린터를 이용한 제품이나 기기 제작에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공통된 기준의 제작 프로세스가 확립됨으로써 의료진은 두개골, 치아 보철물 무릎 연골 등의 보형물 제작을 위한 복잡한 손 작업 과정 없이 쉽고 편리하게 환자 맞춤형 3D프린팅 의료 제품을 제작할 수 있게 됐다.향후 고품질의 의료제품 및 서비스 제공을 통한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 국민건강 증진 및 관련 서비스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 기술 정보 통신부 관계자는 “정보 통신 기술(ICT)과 타고 산업 간 융합을 통해서 산업 전반에 새로운 혁신을 가져오고 있다”,”이번 3D프린팅 분야의 국제 표준 개발을 기반으로 향후 의료 분야, ICT융합 협력이 확대·지속되도록 정책적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내 위드 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